대전역사의 특징 : 우리 나라 최대의 관방도시
성곽의 개념 : 성곽, 행정적 기능 위주 Castle / 보루,요새 : 군사적 기능 위주 Fortress
성곽의 발전 : 방어 / 중세 이후 봉건 영주의 거주지 (행정)
성곽의 쇠퇴 : 14~15세기 이후 (총포의 대두, 중국에서 화약의 도입으로 전쟁 방식 변화)
성곽의 탄생 : 신석기시대부터 / 환호유적 : 중국 섬서성 서안시 강채유적 ( 기원전 4,600년~4,400년 경 )
인더스문명 모헨조다로 성곽 기원전 4,000년 경
메소포타미아 문명 기원전 2,000년경(수메르의 도시 우르유적 )
이집트 문명 부웬성 기원전 1860년경
서양 지역의 성곽 : 스코틀랜드 에든버리성 / 독일 하이델 베르그성 / 오스트리아 호엔 잘츠부르그성/ 스페인 알함브라성
아프리카지역의 성곽 : 산타크루즈 성 / 케이프타운의 희망성
중국지역의 성곽 : 통만성 / 운남성의 려강고성
- 성곽의 기원 : 취락주벽의 환호시설에서 유래
일본의 성곽 :
- 야요이 시대 : 기원전 3세기 경 야요이 시대 전기 초에 구릉 남단에 조성된 환호 / 와세대대학 부지내 환호 유적 발견
- 조선식 산성 : 일본에도 다른 동아시아 국가와 비슷한 형식의 성들이 있으니 그것을 조선식 산성 또는 백제식 산성
- 오사카의 히메즈 성 / 오사카 성 / 왜성
장성 : 하드리아누스 방벽 ( 로마 제국시기 건설된 영국의 방벽 )
청동기 시대
- 경기도 평택 용이동 발견 청동기시대 환호 및 마을 유적 / 소도
고조선 시대
- 황대성 ( 북한 평양지역 ) : 고조선시대의 성곽 ( 성벽 위에 고인돌, 청고기 시대에 이미 성곽이 존재함을 입증
- 대표적인 산성 전투 : 안시성 전투 : 당태종은 직접 고구려 공격 / 정천숙의 반대에도 정벌 결행 / 고구려의 개모성을 함락시킨 후 안시성 공격 / 고구려군의 방어로 교착 상태
- 백제시대의 성곽 : 몽촌토성 / 풍납토성 / 공산성
- 신라시대의 성곽 : 경주 월성 / 보은 삼년 산성
- 가야시대의 성곽 : 고령 주산성 / 김해 봉황대 토성
삼국시대이후 통일신라시대
- 구주 오소경등 지방을 다스리는 행정
- 청해정 : 장보고의 청에 따라 지금의 전라남도 완도군 장도에 설치하였던 진
- 후고구려 궁예도성 또는 궁예성지
- 후백제 견훤 왕궁터
고려 시대 이후 조선시대
- 고려태조 왕건은 즉위한 이듬해 나성을 쌓았음
- 조선시대 한양도성 : 태조 이성계가 조선을 건국하고 궁궐과 도시를 방위하기 위해 지은 도성
- 남한지역의 성곽 분표 현황 2,180개 존재
동북공정을 넘어 한반도의 미래를 위해 (0) | 2022.04.19 |
---|---|
성곽의 축조 와 중국의 역사왜곡 (0) | 2022.04.12 |
한반도 통일 영토 (0) | 2022.03.28 |
한국사의 흐름 (0) | 2022.03.23 |
21세기 동북아시아의 역사 갈등 (0) | 2022.03.22 |
댓글 영역